노력에는 지름길이 없으니까요

13일차 (24-07-10) TIL 학습기록 본문

Python/프로그래머스

13일차 (24-07-10) TIL 학습기록

데건 2024. 7. 10. 21:00
728x90

 

오늘 목표

  • 데이터 문해력 130p
  • SQL 2, Python 2 코드카타 / 2 / 0
  • Python 4주차
  • level0 10문제 이상 풀기


강의 내용

데이터 문해력

사실 및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 곧 평가가 아니다.

나아가 그 결과를 통해 구체적인 행동과 판단으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함

평가를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비교!

데이터를 활용해서 결과물을 만들 때, 자기 생각과 주관을 전하면 안 된다.

-> 더욱 엄밀하고 객관적으로, 논리적인 주장을 전달해서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함

 

데이터와 그래프를 보고 내린 결과가 아니라,

데이터 수집과 분석 전이라고 가정하고 "객관적"으로 숙고해야 함!


비교할 때 체크포인트

1. 결론으로 이어지는 결과가 나올 것인가

2. 비교를 통해 '차이'를 찾을 수 있는가

 

목적 중심으로 접근해야 함!

결과 : XXX와 YYY는 차이가 있습니다.

결론 : XXX와 YYY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, ZZZ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.

데이터를 활용한다란, 결과가 아니라 결론을 도출하는 것

 

데이터나 결과가 아니라, '차이가 있을 것이다'라는 초기 가설이 틀렸다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하다.

즉, 차이가 없었다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는 것

여러 비교 대상 후보를 정하고 각각 비교를 진행해서 결과와 결론의 일관성을 확인하고, 경우에 따라 다시 한번 비교 대상을 늘리거나 조정해서 '가설' -> '검증'을 반복하는 것이 현실적

 

비교법!

1. 편차를 고려한다

편차란 변동성! 최대최솟값 같은 극단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다수의 데이터가 분포된 범위를 나타낸다. 

편차가 크다는 것은? -> 1. 매출 실적이 불안정하다 2. 향후 매출을 크게 높일 가능성이 있다

상황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고 한쪽으로만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음

 

2. 평가 기준의 정리

같은 데이터라도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 (숫자 그 자체, 퍼센티지 등)

어떤 평가가 중요할까? 어떤 설명이나 결론이 가능할까, 라는 관점에서 생각하고 필요한 기준을 선정해 활용해야 함

 

 


비교 사례 분석

1. 평가를 위한 비교 대상을 어떻게 정해야 하는가?

2. 어떤 평가 기준을 활용해서 비교할 것인가?

 

보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

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

그 목적을 처음부터 정하고 작업에 임하기

 


인간은 누구나 2가지 이상으로 편가르기를 하고 그 차이를 구분하려 한다.

 

 

 

서비스 만족도 등을 다룰 경우, 응답자 전원에 대해 평균을 내는 식이 아니라 목적에 초점을 맞춘 값을 파악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.

만족도란 사람의 주관이나 기대에 기반하여 나온 상대적인 값에 불과하기 때문.

-> 서비스 자체가 나쁘자는 결론으로 직결되지는 않는다.

 

 

 


함수 심화

전역변수 (Global Variables)

전역변수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접근 가능한 변수로, 어디서든지 사용

여러 함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값을 저장할 때 유용

 

지역변수 (Local Variables)

지역변수는 특정한 범위(예: 함수 내부)에서만 접근 가능한 변수로, 해당 범위를 벗어나면 사용할 수 없다.

지역변수는 해당 범위에서 생성되고, 범위를 벗어나면 메모리에서 사라짐

메모리 관리에 효율적

 

매개변수와 인수 차이

# 매개변수(parameter) 예시
def greet(name):  # 여기서 'name'은 매개변수입니다.
    print("Hello, " + name + "!")
    
# 함수 호출할 때 전달되는 값이 인수(argument)입니다.
greet("Alice")  # 함수 호출 시 "Alice"는 greet 함수의 매개변수 'name'에 전달됩니다.

 

위치인수

def greet(name, age):
    print("안녕하세요", name, "님! 나이는 ", age, "세입니다.")

# 위치 전달인자 사용
# 아이템을 넣는 순서에 맞춰 나열 가능 (순서가 달라지면 문제 생김!)
greet("철수", 30)  # 출력: 안녕하세요, 철수님! 나이는 30세입니다.

 

키워드인수

def greet(name, age):
    print("이름:", name)
    print("나이:", age)

# 키워드 인수를 사용하여 함수 호출
# 순서가 바뀌더라도 명확하게 지정하였으니 전혀 영향이 없음
greet(name="Alice", age=30)

 

728x90
반응형